반응형

오늘 재미있는 공시가 하나 나왔습니다. 

올해 영업실적에 대한 전망인데요. 

2020년 매출 2836억, 영업이익 283억으로 예상한다고 합니다.

작년 2019년 매출은 2889억, 영업이익은 190억이니 매출은 비슷하지만 영업이익에서 약 48% 정도 성장한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비용절감에 의한 성장이 아닌가 합니다.

 

 

일단 네이버에 나와 있는 컨센서스는 영업이익이 243억이니 그것보다는 약 15% 높은 수치입니다.

그래서 인지 주가도 최근에 반응을 하네요~

 

이렇게 미리 예상 실적도 공시를 하는 것 보니 회사에서는 주가를 올리려는 노력이 엄청난것 같습니다. ㅋㅋ

 

최근 자사주를 지속적으로 매입하는 것도 그렇구요

 

해마로푸드서비스 [올해 들어 6번째 자사주 매입 공시]

해마로푸드서비스는 맘스터치라는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회사입니다. 2019년 말 '한국에프앤비홀딩스'하는 사모펀드가 인수하고 나서 올해들어 벌쩌 6번째 자사주 매입 공시를 하

snailslow.tistory.com

 

그래서인지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도 눈에 띕니다.

외국인의 보유비율은 11월 말 9%에서 지금은 거의 11%가 되어가네요.

 

이제 배당만 잘주면 금상 첨화겠지만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큰 배당은 기대하지 않습니다. 

 

이번 주말에는 해마로푸드서비스를 위해 오랜만에 싸이버거나 먹어볼까 합니다. ㅋ

 

반응형
반응형

빙그레가 천안에 통합 생산,물류기지를 구축한다는 내용입니다.

천안에서 기존 남양주에 있던 공장을 통합해서 운영하고 물류센터를 구축한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올해 인수한 해태 아이스크림과 물류시스템을 통합할 것 같다는 내용인데요. 

 

훔!! 그런데 완공 일자가 2030년이면 너무 먼 미래가 아닌가요?? 

 

좀 빨리 하시지 ㅋㅋ 


국내 굴지의 유제품·빙과류 제조업체인 ㈜빙그레의 통합 생산기지가 천안에 들어설 전망이다.

충남도·천안시·빙그레 등에 따르면 빙그레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천안시 동남구 동면 ‘천안동부바이오산업단지’ 33만 4108㎡(10만여 평 2023년 준공) 터에 통합생산기지를 건설한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박상돈 천안시장, 전창원 빙그레 대표이사 등은 15일 오후 충남도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투자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빙그레는 지난 4월 해태 아이스크림을 인수하면서 해태 보유 생산설비와 빙그레 기존 생산기지와의 통합 운용 전략을 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략에는 현재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1·2공장 등을 통합해 전국단위의 생산기지를 천안에 구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기존에 운용 중이던 생산공장을 통합할 경우 전국 단위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으로 빙그레는 보고 있다.

빙그레는 2018년부터 경기 연천군에 16만 8290㎡ 부지 규모의 신공장 건립을 추진하다가 최근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 빙그레의 천안 신공장 예정지 면적은 연천군 당초 예정지의 2배가 넘는다. 생산과 물류를 연계한 통합시스템 구축이 가능한 면적이다.

 

빙그레의 천안 투자 선회 배경에는 해태아이스크림 인수로 인한 경영환경의 변화와 전국 주요 도시를 3시간대에 통하는 천안의 유리한 물류여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빙그레 주력제품인 빙과류의 경우 저온 유통체계가 필수로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용이 높은 편이다. 그런데 사업예정지인 천안동부바이오 산단 인근에는 ‘서울~세종고속도로’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단독] 빙그레, 천안에 통합 생산·물류기지 구축한다 - 충청투데이

[충청투데이 전종규 기자] 국내 굴지의 유제품·빙과류 제조업체인 ㈜빙그레의 통합 생산기지가 천안에 들어설 전망이다.충남도·천안시·빙그레 등에 따르면 빙그레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천안

www.cctoday.co.kr

 

반응형
반응형

비츠로셀은 1차 리튬전지를 만드는 업체입니다. 

 

1차 리튬 전지

1차 리튬전지의 대부분은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양방향 원격검침 장비의 배터리로 가장 많이 상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수도, 전기, 가스의 계량기가 원격 검침이 가능 하도록...)

그 외 군수용, 석유 시추용 등 가혹한 환경에서 오랜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분야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아래와 같은 사업 특성이 있는데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수요자는 제품에 대한 풍부한 전문적인 지식 보유. 가격, 납기, 품질 중 품질이 가장 중요한 선택기준
  • 동일 규모의 사업군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기술력이 요구
  • 자국 및 해외 동종/유사업체와 기술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음 (군수산업 및 우주항공산업 등 국가 안보 및 경쟁력 등에 있어 중요한 지위를 점하고 있는 산업 분야와의 연계성 때문)
  • 사업의 수익성 유지 위해서 대량생산 가능한 대규모 고가의 설비 투자가 필수적. 리튬 금속의 특성상 Dry Room을 운영해야 하는 등 대단위 자본투자가 필요한 장치산업
  • 기술집약적 장치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리튬 일차전지 시장의 진입장벽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편
  • 시장 제품 가격은 전반적으로 안정화되어 있는 편이어서, 가격 유동성이 크지 않은 편

비츠로셀의 올해 실적은 상당히 실망스러운 편입니다.

회사에서도 역성장만 피하자는 입장인데 어려울 것 같습니다.

 

보시다시피 실제 매출과 영업이익도 분기별로 뚜렷하게 하락세입니다.

 

실제 수출 통계도 안습인데요.  4분기 시작인 10월부터도 전년 대비 - 45% 로 역성장했습니다.

한가지 좋아보이는 점은 회사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여러가지 신사업을 열심히 추진 중이라는 것입니다.

대충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차량용 2차전기 - E-CALL ??? (차량 사고 시 긴급 구조 신호)

- ESSET TRACKING (자산추적??)

- 리튬 포일 ??

- 필름 배터리 (웨어러블 기기??)

- 박막 리튬 포일 (2차 전지 소재)

- 2차 폐전지 사업은 검토 중!!!

자세한 내용은 장승국 대표이사님의 인터뷰 내용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최근에 공시가 몇가지 나왔습니다.

'플렉스 파워'라는 업체는 6.4억에 인수한다는 내용이고 취득 목적은 FLEXIBLE BATTERY 기술 및 영업망 확보입니다.

아무래도 이게 필름 배터리 관련 사업인 듯 합니다.

​그래서 플렉스 파워 홈페이지를 살짝 방문해봤슨비다.

 

'Thin Printable Battery'가 주력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전환사채 발행 공시 2건인데요. 100억씩 2건으로 총 200억입니다.

전환가액은 16,670원 이고 주가 하락 시 리픽싱해서 15,003원까지 전환 가능합니다.

아무튼 중요한 건 돈 빌렸으면 어디다가 쓰냐는 건데 인쇄 전지 사업 진출 이라고 합니다.

즉, "인쇄 전지 = Thin Printable Battery = 필름배터리 =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 사업 진출"이 될 것 같습니다.

 

올해 코로나로 인한 부침이 있었지만 신사업에 잘 진출해서 내년에 다시 한번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주가는 15,900원인데 조금더 내려와주면 좋겠네요. ㅋㅋ

 

반응형
반응형

최근 주식 시장이 상당히 좋은 반면에 제가 보유 중인 더네이쳐홀딩스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최고 48650원을 찍고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네요.


더네이쳐홀딩스는 최근에 내셔널지오그래픽이라는 브랜드로 유럽 진출에 대한 뉴스가 나왔었는데요

 

㈜더네이쳐홀딩스가 운영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이 유럽 시장에 진출한다고 12일 밝혔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은 오는 11월부터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주요 국가 내 디즈니 스토어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스토어에 숍인숍 형태로 입점한다. 이후 소비자 반응과 현지 환경을 반영해 단독 매장 등 유통 채널 및 상품 공급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더네이쳐홀딩스는 전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유럽 진출…佛·英 디즈니스토어 '숍인숍' 입점

㈜더네이쳐홀딩스가 운영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이 유럽 시장에 진출한다고 12일 밝혔다.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은 오는 11월부터 프랑스, 영국..

biz.chosun.com

 

오늘 우연치 않게 영국 샵디즈니 온라인 몰에 들어가보니 내셔널지그오래픽 의류가 올라와 있었습니다.

(프랑스 샵디즈니에도 동일하게 입점한 상태임)

더네이쳐홀딩스가 확실히 유럽 진출은 확실하게 한 것 같네요.

 

유럽에서 옷장사 잘해서 주가 좀 끌어 올려주실 바라겠습니다.


최근에 내셔널지오그래픽의 의류가 짜가?? 위조품이 많다는 소식은 얼핏 들었는데

회사측에서 강력한 대응을 하나 봅니다. 그것도 디즈니와 함께 한다고 하네요.

 

부디 위조품을 몰아내고 의미있는 수익을 냈으면 합니다.

 

 

더네이쳐홀딩스(대표 박영준)가 전개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이 위조품 단속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조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라이센싱홀더 디즈니와 함께 수사기관과 공조하여 가품 단속을 진행 중이다. 앞으로는 온·오프라인에서 생산 판매 중인 위조품에 대해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며 위조품 제조·판매 업체들에게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관계자는 “위조품으로 인한 국내외 소비자들이 느낄 수 있는 피해를 해소하고 브랜드의 가치와 신뢰를 보호하기 위해 단속 강화를 진행 중이다. 적발된 판매업자들의 경우 무관용 원칙에 따라 민형사적 법적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브랜드가 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은 새로운 토탈 라이프 스타일을 선보이면서 독보적인 브랜딩과 제품 라인업으로 다양한 연령층으로부터 사랑받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 홍콩과 대만에 이어 올해 미국과 캐나다, 유럽 등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출처] 어패럴뉴스(http://www.apparelnews.co.kr/)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위조품 단속 강화 나선다

더네이쳐홀딩스(대표 박영준)가 전개하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이 위조품 단속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조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라이센싱홀더 디

www.apparelnews.co.kr

 

 

반응형
반응형

해마로푸드서비스는 맘스터치라는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회사입니다.

2019년 말 '한국에프앤비홀딩스'하는 사모펀드가 인수하고 나서 올해들어 벌쩌 6번째 자사주 매입 공시를 하였습니다.

 

오늘 낸 공시는 90억원의 자사주 매입을 하겠다는 공시입니다.

그 전에 이미 공시 했던 5건은 약 300억원으로 12월 9일까지 300억원 매입 완료 했습니다.

 

오늘 주가를 기준으로 시총이 3182억이니 자사주 390억을 빼주면 대략 시총이 2800억정도가 됩니다.

(자사주를 소각한건 아니지만..)

 

사모펀드는 회사를 매입했으면 이익을 뽑아내야 합니다.

이익을 뽑아내기 가장 쉬운 방법은 배당인데..

자사주를 매입하는 만큼 배당을 증액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자사주를 많이 매입하게 되면 회사에 쌓여 있는 현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배당을 줄수 있는 금액이 줄어듭니다. 

 

2020년 3분기 별도 재무상태표 기준으로 회사는 약 590억 정도의 현금이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으로 390억 정도 사용하면 200억 정도가 남겠네요

회사에는 일정 현금이 있어야 하니 올해 연말에 얼마나 배당 할지는 모르겠지만 

남은 현금의 4분의 1정도 (3분기에 벌어들인 현금 제외) 배당한다고 하면 50억입니다.

(이건 밑도 끝도 없는 그냥 제 가정임을 알려드립니다.)

 

총 주식 수 : 98,120,561 주

390억의 자사주 (예상) : 12,285,797 주 

유통 주식수 : 98,120,561 주

 

대충 계산해보면 주당 58원 정도 배당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 배당율은 금일 주가 31250원 기준으로 1.8% 정도 되겠네요

 

당연히 회사가 100억을 배당하게되면 주당 116원이 되겠죠!!  배당율은 3.6% 정도??

 

아무튼 개인적으로는 이번 연말에는 배당 폭탄은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회사는 주가를 끌어올리려는 노력은 계속하는 것 같으니 지속적으로 관찰 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 맘스터치의 이미지가 나빠지고는 있지만.. ㅋㅋ 궁금하신분은 별도로 검색 부탁드립니다.)

 

 

“해마로푸드서비스, 가맹점 수가 3분기까지 1293개까지 확대”

맘스터치 가맹점 수 증가 여력 충분, 수익성 개선도 긍정적

 

“해마로푸드서비스, 가맹점 수가 3분기까지 1293개까지 확대”

[뉴스투데이 장원수 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은 10일 해마로푸드서비스에 대해 신규 사업 및 메뉴 개발을 통한 가맹점과 가맹본부 동반 성장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장지혜 카카오페이증권 연구원

www.news2day.co.kr

 

반응형
반응형

재미있는 기사가 있어 공유합니다.

 

개인적으로 내셔널지오그래픽의 로고 디자인의 노란색 네모 박스는 별거 없는 것 처럼 같지만 상당히 예쁩니다.

제 지인은 일반 MLB같은 브랜드에 지성을 한방울 떨어뜨린 느낌이라고 평가 하기도 하더라구요. ㅋ

 

아무튼 현재 내셔널지오그래픽이 핫한 것 맞나봅니다.

‘MZ세대의 신(新)교복’으로 불리는 ‘뜨는’ 브랜드 라고 평가를 하네요.


●백팩, 패딩, 운동화에 박힌 로고 ‘내셔널지오그래픽’
●상반기 영업이익 165억, 전년 동기 대비 70% 성장
●아웃도어 ‘아재’ 스타일 깬 ‘스탠다드 핏’
●MZ세대 신념 드러내는 100% 친환경 제품 비중 15%
●제조사 직원 평균연령 34세… “수평적 조직문화와 젊은 감각”

 

 

내셔널지오그래픽이 MZ세대 일상복 된 3가지 이유

직장인 유호근(49) 씨는 얼마 전 버스정류장에 서 있는 젊은 여성 배낭에서 낯익은 로고를 발견했다. 노란색 사각형 옆에 ‘National Geographic’이라고 쓰여 있었다…

shindonga.donga.com

그런데 오늘도 주가는 영 힘을 못쓰고 있네요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로 침체된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선지 최근에 건설주가 꽤나 주목 받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대림건설은 투자 실패 종목에 해당합니다. 마음이 많이 아픕니다. ㅠ_ㅠ

대림건설은 최근 삼호와 고려개발이 합병해서 만들어진 대림산업의 자회사입니다.

 

저는 삼호 시절에 투자를 했었는데요. 저의 매수/매도 시점을 보면 손해는 보지 않았지만 큰 이익도 보지 못할 것을 알수 있습니다.

즉, 엉덩이가 무겁지 못한 것인데요. 조급한 마음이 투자의 실패라고 생각합니다.

회사는 변하지 않았는데 제 마음만 급하니.... 반성합니다.

 


최근 대림건설은 수주에서 꽤나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충  올해 3분기 이후 수주 공시만 보더라도 아래와 같습니다. 엄청난 것 같은데

 

인천항동 드림물류센터 신축공사 -1138억

인천 서구 원창동 복합물류센터 신축공사 - 1050억

로지스코아 북천안물류센터 개발사업 - 1064억

양주 신원 지역주택조합 공동주택 신축공사 - 1165억

가산동 459-21 지식산업센터 신축공사 - 639억

범일3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주상복합 신축공사 - 1458억

옥계동2구역 재개발정비사업 - 2697억

세종~포천 고속도로 안성~구리 건설공사 제12공구 - 1712억

 

 

대림건설은 현재 주가가 많이 올라 시총이 약 7000억 정도됩니다. 그래도 아직 PER가 4배네요~

그리고 202년 3분기 기준으로 수주 잔량은 2.8조원 정도 됩니다.

 

 

재개발의 강자 대림건설입니다.

 

지난 7월 1일 삼호와 고려개발이 합병한 대림건설은 ‘e편한세상’ 브랜드 경쟁력과 확장된 외형을 바탕으로 수도권과 지방 광역시 중대형 사업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대림건설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도시정비사업에서 총 1조3000억원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며 “향후 수도권과 지방 중대형 사업지 공략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서울까지 지역을 확대해 정비 시장의 신흥 강자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대림건설, 정비사업서 사상 첫 '1조 클럽' 가입

[파이낸셜뉴스] 삼호와 고려개발이 합병해 출발한 대림건설이 도시정비사업에서 창사 이래 첫 ‘1조 클럽’에 가입했다. 대림건설은 지난 10월 31일 2697억원 규모의 대전 옥계2구역 주택재개발정

www.fnnews.com

 

 

저는 왜 돈 잘벌고 있는 좋은 회사를 팔아버렸을까요?? 그 때는 딴게 더 가지고 싶은게 있어서.... ㅠ_ㅠ

반응형
반응형

웅진씽크빅에는 놀이의 발견이나는 자회사가 있습니다. 

2020년 3분기 기준으로 웅진씽크빅에서 물적분할되어 현재는 58.33%의 지분율이며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왠지 플랫폼 사업이라고 하니 기대가 되는데요~

그런데 올해 3분기까지 매출은 약 2억에 순이익은 23억 적자입니다. 참으로 안타까운 실적인데요~

사실 놀이의 발견은 2019년 4월에 런칭이 되어 이제 1년 6개월 정도 되어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고 봐야겠습니다.

돔 더 지켜 볼 필요가 있겠죠.

그런데 놀이의 발견이 물적 분할된 뒤 올해 8월 200억 투자 유치를 받았습니다. 

타 언론 발표에 따르면 기업 가치를 약 500억으로 평가 했다는 이야기도 들리는게 아무튼 매출 2억 나는 회사의 성장을성을 너무 높게 평가한 건 아니니 지켜봐야겠습니다.

 

놀이의발견이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합자회사(우리-큐 PEF)로부터 200억원을 투자받았다고 10일 밝혔다. 놀이의발견은 이번에 확보한 실탄으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유망 스타트업의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리-큐 PEF, 놀이의발견에 200억 투자

놀이의발견이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합자회사(우리-큐 PEF)로부터 200억원을 투자받았다고 10일 밝혔다. 놀이의발견은 이번에 확보한 실탄으로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유망 스타트업의 인

www.mk.co.kr


놀이의 발견은 키즈놀이앱으로 키즈카페, 공방, 놀이공원 및 기타 체험 활동을 연결해주는 플랫폼인데요.

제가 아이는 키우지만 육아에 큰 관심은 없어서 잘 모르지만 '놀이의 발견'과 같은 플랫폼은 처음 본 것 같다. 왠지 잘하면 대박날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12월 초 기준으로 회원수는 약 60만명이라고 합니다.

 

'놀다 지켜 잠들리라'는 문구가 강렬해보이고 차승원 형님도 멋짐!

그리고 최근 11월 말부터 검색량이 갑자기 급격하게 늘었습니다. 뭔가 신호가 오는 걸까요??

그래서 저도 어플을 깔고 가입해봤습니다. ㅋ

주변의 키즈카페 뿐만 아니라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을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테마파크, 쿠킹/베이킹, 전시/공연, 스포츠강습 등 많은 활동이 가능함)

그리고 여러 할인 이벤트도 많습니다.

최근에는 놀이클라스 라이브라는 비대면 놀이 수업도 런칭을 했네요~

 

웅진 놀이의발견 집에서 랜선수업 놀이클래스 LIVE 출시

웅진그룹이 운영하는 놀이의 발견이 3000여개 놀이 수업을 즐길 수 있는 `놀이클래스 LIVE`를 론칭했다고 2일 밝혔다. 놀이클래스 LIVE는 미술, 음악, 랜선여행, 직업체험, 트로트, K-POP, 마술, 태권도

www.wowtv.co.kr

아무튼 인터넷 검색을 해보니 사용자의 평도 좋고 현재 상태에서 더 많은 컨텐츠를 넣어 확정성도 무궁무진 한 것 같습니다. 아직 수익을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지켜 볼만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웅진씽크빅이 2020년 3분기에 양호한 실적을 보여줬습니다.

매출 1660억, 영업이익은 89억, 당기순이익은 94억입니다. 

영업이익이 yoy로 81% 성장했고, qoq로는 79% 성장했습니다.

 

올해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회비를 면제하면서 회원수가 많이 감소 했습니다. 하지만 회원 단가를 올려 매출을 느렸고 최근에 출시한 AI(인공지능) '웅진스마트올', '스마트쿠키' 등 에듀테크의 판매량이 증가한 것이 주요 한 것 같습니다.

 


웅진씽크빅이 교육문화사업을 비롯해 미래교육사업, 단행본사업 등 전사 실적이 고르게 성장한 덕에 3분기 실적을 개선에 성공했다. 코로나19로 회비를 면제하면서 회원수가 다소 감소했지만 AI(인공지능) '웅진스마트올', '스마트쿠키' 등 에듀테크의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좋은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웅진씽크빅이 3분기 매출 대비 영업이익 증가폭이 더 컸던 이유는 수익성 높은 에듀테크 상품의 판매량이 늘어난 게 주 요인이다. 실제 지난해 7월 출시한 유아 대상 종합 학습물인 '스마트쿠키'가 출시 한 달만에 회원수 2만명을 돌파했고, AI스마트클럽 모델 판매량도 증가했다.

 

이 밖에도 웅진씽크빅은 학습지 회원단가를 올린 부분도 실적 개선에 한몫 거들었다. 웅진씽크빅은 학습지 회원 단가를 지난해 3분기 10만406원에서 올해 3분기 11만3999원으로 올렸고, 공부방 단가는 13만429원에서 13만5489억원으로 확대했다.

 

 

웅진씽크빅, 에듀테크 성과로 3Q 실적 상승 - 팍스넷뉴스

3분기 영업이익 89억원…전년 동기比 80.9% 올라

paxnetnews.com

언론 발표에서도 에듀테크의 판매량이 증가했다고 했는데요~

최근에 웅진씽크빅에서 밀고 있는 AI 교육인 스마트올의 회원수 증가도 심상치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마케팅도 적극적입니다.

 

스마트올 키즈에서 중학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대치동 학원강의 집에서 듣자'…웅진씽크빅 '스마트올 중학' 출시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광고도 적극적인 듯하구요

 

웅진씽크빅, 신동엽·소이현의 'AI격차가 공부격차' 광고 공개

웅진씽크빅(대표 이재진)은 신동엽과 소이현을 모델로 한 초등 전과목 AI학습 웅진스마트올 광고를 TV와 유튜브에 공개한다고 1일 밝혔다. 웅진스마트올은 500억건의 학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www.etnews.com

 

저는 잘 모르지만 세계적인 수학자까지 영입합니다.

 

웅진씽크빅, 세계적 수학자 김민형 교수 자문 영입 | 연합뉴스

웅진씽크빅, 세계적 수학자 김민형 교수 자문 영입, 이태수기자, IT.과학뉴스 (송고시간 2020-11-17 09:45)

www.yna.co.kr

자료 무료 배포까지..

 

 

웅진씽크빅, 'AI 학교 수학' 초등교사에 무료 배포 | 연합뉴스

웅진씽크빅, 'AI 학교 수학' 초등교사에 무료 배포, 이태수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08-31 11:51)

www.yna.co.kr

아무튼 웅진씽크빅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공격적인 마케팅과 요즘 트렌트에 맞게 AI, 비대면에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그래서 그런지 최근에 기관의 매수가 눈에 띄네요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빙그레는 유제품과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대표 제품은 바나나맛 우유, 투게더, 요플레, 메로나가 있죠.

최근 주식시장을 보면 핫(HOT)한 섹터가 많습니다. 2차전지나 반도체 같은 것들이 대표적인데요.

그에 비해서 이 빙그레는 상당히 재미없는 주식입니다. 요즘 같이 주식 시장이 좋을 때는 더욱 그런 것 같구요~

 

차트를 보면 2013년 140,000원을 찍은 후 줄기차게 하락을 했네요

 

 

그런데 사실 실적이 그렇게 나쁜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최근 5년간 매출은 꾸준히 증가를 했고 영업이익, 당기순이익도 소폭이긴 하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2020년 컨센서스도 올해 실적이 작년에 비해서 증가 할 것으로 보구 있네요~ 매출 9340억, 영업이익 525억 

여기에 배당도 7년간 삭감없이 일관된 정책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올해도 작년과 동일한 수준의 배당을 준다면 현재 주가 기준으로 2.6% 배당율이 될 것 같습니다.

회사는 현금성 자산도 2020년 3분기 기준으로 약 2900억 정도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배당 유지 혹은 증액은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년도

주단순이익

배당금

배당금총액

배당성향

2019

4644

1450

128

31%

2018

3868

1350

119

35%

2017

3349

1250

111

37%

2016

3249

1250

111

38%

2015

2798

1250

111

45%

2014

4282

1250

111

29%

2013

4285

1250

111

29%

2012

5744

1400

124

24%

그리고 최근에 중요한 이슈가 있었는데요. 바로 해태아이스크림을 인수하였습니다. 

인수 금액은 1350억이며 빙글레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모두 지급하였습니다.

국내 유제품 및 아이스크림 시장이 포화인 상태인데 기업이 가지고 있는 풍부한 현금을 본업과 관련된 기업은 인수하는데 사용한 것은 좋은 판단인 것 같습니다.

 

이로써 빙그레의 아이스크림 시장의 점유율은 약 40%까지 올라가게 되었네요.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아이스크림 시장 점유율은 ▲ 롯데제과 31.8% ▲ 빙그레 27.9% ▲ 롯데푸드 15.3% ▲ 해태 12.7% 등의 순이다.

롯데 계열의 점유율을 합하면 47.1%, 빙그레 계열의 점유율을 더하면 40.6%다. 양 측의 점유율 차이가 6.5%포인트에 불과해 향후 빙과시장의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 기다려라"…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인수 완료 | 연합뉴스

"롯데 기다려라"…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인수 완료, 이한승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20-10-05 16:58)

www.yna.co.kr

 

해태 아이스크림의 3분기 누적 매출은 1325억이네요~

이번 3분기 실적에는 해태아이스크림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4분기가 비수기이긴 하지만 해태 아이스크림의 반영한 실적이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내년의 실적이 더욱 기대 됩니다.

 

다만, 주가는 언제 좋아 질지 모르겠네요.  PER. PBR 밴드로 보면 저평가는 맞는 것 같은데...

 

반응형

+ Recent posts